학업도 일도 한평생 함께 한 부부, 같은 날 눈 감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학업도 일도 한평생 함께 한 부부, 같은 날 눈 감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David Bai
댓글 1건 조회 2,299회 작성일 25-01-17 07:52

본문


학업도, 평생 과업도 함께 했던 부부가 같은 날 눈을 감았다. 농촌 교육의 선구자, 정지웅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명예교수와 김지자 서울교대 명예교수 부부의 이야기다. 유족은 부부가 지난 14일 별세했다고 16일 중앙일보에 전했다. 정 교수는 85세, 김 교수는 84세.

부부는 서울대 교육학과 선후배로 만나 백년가약을 맺었다. 정 교수는 58학번, 김 교수는 59학번이었다. 6·25 전쟁(1950~53) 직후 농촌부터 살려야겠다는 게 부부가 나눈 목표였다. 미국 유학을 결심하고 미 국무부 풀브라이트 장학금도 각각 확보했으나, 농촌 교육에 헌신하기로 삶의 방향키를 바꿨다. 아시아 지역 개발을 연구하기 위해 택한 곳은 필리핀.


필리핀 유학은 부부에겐 운명이었다. 졸업 후 동아일보 기자로 일했던 김 교수에게 필리핀 출장 기회가 온 것. 김 교수가 필리핀 현지에서 만난 한 여성 교수는 “아시아 지역의 농촌 문제를 남편과 함께 연구하면 어떻겠냐”고 권했고, 김 교수도 자연스럽게 당시 시작됐던 새마을운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귀국 후, 정 교수는 서울대 농대에서 교편을 잡았고, 1977년 설립된 서울대 새마을운동 종합연구소에 관여하다 소장까지 맡으며 새마을운동 연구에 집중했다. 1986년 농업교육학회부터 2000년 아시아농촌사회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했다. 부인 김 교수도 연구 활동을 함께했다. 부부가 함께 1973년 『지역사회 개발: 그 이론과 실제』를 펴내기도 했다.

은퇴 후 정 교수에게 부인 김 교수는 눈이자 손발이 돼주었다고 한다. 유족인 막내딸 정양희씨는 중앙일보에 “약시(弱視)인 아버지를 위해 어머니가 24시간 함께 하셨는데 어머니가 생전 ‘아버지 혼자 가시게 하면 안 되니 나도 함께 가게 해달라고 기도한다’고 농담처럼 말씀하시곤 했다”며 “두 분이 워낙 금슬이 좋으셨기에 소설 같은 이야기가 가능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 교수를 간호하던 김 교수가 지난 14일 잠시 운동을 하러 갔다가 심정지가 왔고, 약 6시간 후 정 교수도 눈을 감았다고 한다.

댓글목록

profile_image

진국이님의 댓글

진국이 작성일

한평생 함께한 부부가 같은 날 세상을 떠난다는 이야기는 매우 드문 일이지만, 그만큼 강한 사랑과 깊은 유대감을 보여주는 감동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였는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사건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안에는 슬픔과 안타까움도 깃들어 있습니다. 남겨진 가족들에게는 커다란 상실감이겠지만, 한편으로는 두 사람이 서로의 곁을 떠나지 않고 끝까지 함께했다는 사실이 위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쩌면 이는 두 사람의 삶이 조화를 이루며 하나로 이어져 있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일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사랑의 깊이와 삶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의미 있는 사례라고 느껴집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Sugar Hill, Georgia USA
mylife9789@outlook.com
관리자 David

Copyright © koreanol.com All rights reserved.